이번 시간에는 플라스틱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특성에 의한 플라스틱 분류 - 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구분하며,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에서 다시 결정성(엄밀하게는 반결정성)과 비결정성으로 구분합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녹였다가 굳힐 수 있어, 원하는 모습으로 성형이 가능한 플라스틱입니다. 반면에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가열 및 냉각하여 굳어진 후에는 다시 녹일 수가 없습니다. - 아래와 같은 삼각형을 Plastic Pyramid라고 부르는데, 특성에 따라 열가소성 플라스틱들을 나타낸 도표입니다. 좌우는 결정성으로 구분하고, 세로축은 위로 갈수록 내열 온도가 높고 가격이 비싼 플라스틱입니다. 구글에 검색하면 많은 이미지가 나오는데, 딱 마음에 들게 생긴 게 없네요. (1) 열..
플라스틱 업계에 발을 들였지만, 화학이나 고분자 전공이 아닌 분들을 위해 간단한 플라스틱 강의를 시작합니다. 일을 하면서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을 포함하여 몇몇 소재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플라스틱이란? 일반적인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플라스틱은 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플라스티코스(plastikos)에서 유래했으며, 열과 압력을 가해 성형할 수 있는 합성수지이다. (출처 : 위키피디아)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플라스틱의 핵심은 '원하는 모양으로 만드는 것' 입니다. 폴리머(Polymer)란? 한글로 바꾸면 중합체이나, 일반적으로 폴리머라고 부르므로 여기서도 폴리머라고 부르겠습니다. 폴리머는 '모노머(단랑체)'를 '중합'하여 만든 화학 물질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파란색 ..
안녕하세요? 지속가능성 관련, 최근 국내 플라스틱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Polyamide 56 (PA56)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듀폰사의 상품명인 Nylon을 사용하여 Nylon 56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만, 엄밀하게는 폴리아마이드 56 (Polyamide 56, PA56)으로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1. Polyamide 56 (PA56) 이란? PA56은 재생 가능한 원료를 이용해 합성한 Bio Based Polyamide 입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밀이나 옥수수 같은 식물을 직접 발효하거나, 혹은 미생물을 이용해서 라이신(Lysine)에서 만들어낸 Cadaverine (Pentamethylenediamine, PMDA)과, 일반적으로 PA66을 합성할 때 사용하..